- 제21회 삼성패션디자인펀드 우승자는 ‘제이든 초(JADEN CHO)’의 조성민
- 한국적 미감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컬렉션 통해 특히 완성도, 독창성 호평
- 파이널리스트는 ‘본봄’의 조본봄, ‘준태킴’의 김준태, ‘오키오 라운지’의 윤준혁
신예 디자이너 조성민이 스물한 번째 SFDF의 주인공이 됐다.
삼성물산 패션부문이 운영하는 삼성패션디자인펀드(Samsung Fashion & Design Fund, 이하 SFDF)는 제21회 SFDF 우승자로 ‘제이든 초(JADEN CHO)’의 조성민 디자이너를 선정했다고 20일 밝혔다.
삼성물산 패션부문의 디자인 디렉터·실장과 외부 패션업계 전문가 등으로 이뤄진 심사위원이 다양한 항목을 기준으로 쟁쟁한 지원자들을 평가한 결과, 조성민 디자이너가 최고점을 받았다. 특히 조 디자이너는 완성도와 독창성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획득했으며, 그가 보여주는 예술적인 미감, 한국적인 미와 핸드메이드 기술의 수준이 상당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조성민 디자이너는 1991년생으로 국민대학교 패션디자인 학사를 거쳐 런던 로열 컬리지 오브 아트에서 여성복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2021년부터 국내 패션 브랜드 ‘엄버 포스트파스트(UMBER POSTPAST)’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를 맡고 있으며, 같은 해 자신의 이름을 딴 브랜드 ‘제이든 초’를 설립했다.
제이든 초는 한국 고유의 미감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여성복 브랜드다. 낭만, 행복, 여유의 감정을 바탕으로 오뜨 꾸뛰르 기법에 현대적인 감성을 더한 컬렉션을 선보인다. 특히 소재의 퀄리티와 완성도를 중시하며, 특유의 꽃무늬와 기하학 패턴을 디자인 차별점으로 내세운다. 또한, 도시 ‘서울’이 가진 복합적인 감성과 미감을 지속 가능하고 세련된 방식으로 세계에 전달해 서울을 대표하는 브랜드로 자리매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아울러 제이든 초는 브랜드의 방향성을 보여줄 수 있는 협업 프로젝트를 활발히 진행해왔다. 올해는 궁중문화축전의 공예전시 <고궁만정>에 참여해 창경궁 빈양문에 시그니처 누비 작업인 ‘빛나는 별’을 전시했다. 지난해에는 이탈리아 소재 기업 알칸타라와 협업해 시그니처 실루엣의 드레스를 제작하고 전시했으며, 아모레퍼시픽 뷰티 브랜드 헤라와 협업해 서울의 섬세한 우아함을 담은 코스메틱 제품을 선보이기도 했다.
제이든 초는 현재 서울 북촌 플래그십 스토어와 온라인 스토어를 운영 중이며, 일본 도쿄에 위치한 백화점 바니스 뉴욕 긴자점과 중국 항저우 편집숍 IINC에 입점해 있다. 이번 SFDF 수상을 계기로 브랜드의 글로벌 확장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SFDF는 우승한 조성민 디자이너에게 10만 달러를 지급한다. 파이널리스트로 선정된 ‘본봄(BONBOM)’의 조본봄, ‘준태킴(JUNTAE KIM)’의 김준태, ‘오키오 라운지(OKIIO LOUNGE)’의 윤준혁 디자이너에게는 각각 1000만원씩 지원한다.
SFDF는 삼성물산 패션부문이 2005년 설립한 대한민국 신진 패션 디자이너 지원 프로그램이다. 현재까지 재능 있는 한국 패션 디자이너 총 63개 팀을 발굴하고 이들의 성장을 뒷받침하고자 약 50억원을 지원했다.
신정원 삼성물산 패션부문 SFDF 사무국장은 “해마다 진보하는 디자이너들과 새롭게 등장한 인물들을 통해 K패션의 밝은 미래를 내다봤다”면서, “앞으로도 SFDF는 잠재력 높은 차세대 디자이너를 발굴하고 돕는 역할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참고 자료]
1. 제21회 SFDF 우승자 ‘조성민’ / 브랜드 제이든 초(JADEN CHO)
| 출생 | – 1991년 生 |
| 학력 | – ’10~’16년 국민대학교 패션디자인 학사 – ’18~’20년 Royal College of Art, London 여성복 석사 |
| 주요 경력 | – ’21년~’25년 엄버 포스트파스트(UMBER POSTPAST)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 ’21년 제이든 초(JADEN CHO) 론칭 – ’23년 영국 V&A 박물관, 22SS 레몬 튤립 퀼트 드레스 소장 – ’24년 이탈리아 소재 기업 알칸타라 전시 참여 – ’24년 아모레퍼시픽 헤라 협업 프로젝트 ‘루즈 클래시’ 진행 – ’25년 궁중문화축전 공예 전시 <고궁만정> 참여 |
| 특징 | – 한국 고유의 미감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컨템포러리 여성복 – 낭만, 행복, 여유를 바탕으로 오뜨 꾸뛰르 기법에 현대적인 감성을 더한 소재 중심의 컬렉션 |
| 유통 | – 서울 북촌 플래그십 스토어, 공식 온라인 스토어 운영 및 도쿄 바니스 뉴욕 긴자점, 항저우 IINC 입점 |
[주요 컬렉션 이미지]
2. SFDF 개요
삼성패션디자인펀드(SFDF, Samsung Fashion & Design Fund)는 2005년 가을, 세계 각지에서 활동하는 대한민국 신진 패션 디자이너들을 발굴해 그들이 재능을 꽃피울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 출범했다. 삼성물산 패션부문은 SFDF를 통해 매년 미래 패션계를 이끌어갈 재능 있는 디자이너를 선정해 10만 달러와 함께 대내외 홍보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3. SFDF 역대 우승자
| – 제1회(2006년) : 두리정, 리처드채, 박고은 – 제2회(2007년) : 두리정, 박고은, 정혁서/배승연 – 제3회(2008년) : 정혁서/배승연, 임상아, 김건효 – 제4회(2009년) : 소니아윤, 정욱준, 에이미조 – 제5회(2010년) : 이진/이승배, 정욱준 – 제6회(2011년) : 정욱준, 이정선, 임상균 – 제7회(2012년) : 최유돈, 최철용 – 제8회(2013년) : 최유돈, 최철용 – 제9회(2014년) : 최유돈, 허환 – 제10회(2015년) : 계한희, 박종우 – 제11회(2016년) : 박종우, 서혜인/이진호 – 제12회(2017년) : 정고운, 정지연 – 제13회(2018년) : 이승준, 표지영 – 제14회(2019년) : 표지영, 신규용/박지선 – 제15회(2020년) : 김인태 – 제16회(2021년) : 최강혁/손상락 – 제17회(2022년) : 최강혁/손상락 – 제18회(2023년) : 박상연 – 제19회(2024년) : 김지용 – 제20회(2025년) : 김지용 – 제21회(2026년) : 조성민 |
4. SFDF 선정 기준
SFDF는 다음과 같은 인재를 우선적으로 선발하고 있다.
– 국제적인 패션 도시를 거점으로 활동하고 있는 한국계 디자이너
– 독자적인 브랜드를 론칭한 지 5년 이하의 신인 디자이너
– 매 시즌 거르지 않고 새 컬렉션을 발표해온 디자이너
– 국제적으로 ‘발전 가능성 높은 차세대 주자’로 인정받는 디자이너
– 창의성과 비즈니스 역량을 균형 있게 갖춘 디자이너









